webalizer 설정

[root@www1 cron.daily]# cat webalizer.sh
#!/bin/sh
/usr/local/bin/webalizer -c /webalizer/webalizer.MYSITE.COM.conf

———————

서버에 안깔려있어서 http://www.mrunix.net/webalizer/ 에서 다운받아 컴파일하고 있음.

GD Library 없어서 http://www.boutell.com/gd/ 또 컴파일하고..

[root@ns webalizer-2.01-10]# make install
/usr/bin/install -c webalizer /usr/local/bin/webalizer

잘 되는 군….

근데 맥오에스용 한글터미널은 없나… 쩝

How to create your own YouTube site

How to create your own YouTube site

Posted Jul 26th 2006 8:52PM by Russell Heimlich

Have you ever wanted to know how you can create your own video hosting site allowing
users to upload video, automatically convert it to FLV, and display it for the world to see?
A recent post at Daniel’s Random Mutterings (DRM – how clever) explains exactly how to do
this with open source tools.

Using a Djano CMS system, FFMpeg for the FLV encoding, FLVtools2 for writing meta information, and FlowPlayer for embedding the SWF file you’ll have everything you need to get started.

The code is pretty straight forward and a great starting point. Now go forth and create your

new video distribution empire.

자신만의 비디오사이트 만들기
(YouTube는 해외의 비디오 커뮤니티 사이트임 : http://www.youtube.com/)

여러분은 여러분의 사이트에 방문하는 방문자들에게 비디오를 업로드하고 자동으로 그 비디오가 FLV파일로 변환되며, 전 세계로 배포되는 비디오 호스팅을 하는 방법을 알고 싶은 적은 없습니까?

Daniel’s Random Mutterings의 블로그에 최근 게시된 포스트는 오픈소스 Tool로 이러한 서비스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잘 알려줍니다. Djano CMS system 과 FLV변환을 위한 FFMpeg, 메타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FLVtools2, 그리고 화면에 보이게 할 수 있는 SWF 재생기인 FlowPlayer를 이용해서 여러분이 원하는 모든 것을 시작 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 리눅스 새로 깔다.

이번엔 SU LINUX 를 깔았다. 보안과 서버에 최적이라고 하는데 편리한 기능이 좀 많다.

홈페이지는 http://www.sulinux.co.kr , 공짜고 기술지원비도 싸고.. 성능이야 거기서 거기겠지.

위사진은 내서버 뚜껑 깐 사진. 팔려고 찍었다가 다시 데이타센타로 들어갔다.

넥스트라인이라고 월 6만원짜리 코로케이션… 그중 가장 저렴한 곳이다. http://www.nextline.co.kr/

야탑동의 호스트웨이에 입주된 업체이다.

Model: PE1850 (1U Rack Type 서버)
CPU: 최대 3.4GHz(800MHz FSB, 1MB L2) EM64T Xeon Dual
RAM: 최대 8GB ECC DDR-2 SDRAM
HDD: 최대 600GB SCSI (2 X 300GB) 2개의 핫플러그 드라이브
64bit 지원

ssh에서 root로 login이 불가능하게 설정하려고 하는데…

ssh에서 root로 login이 불가능하게 설정하려고 하는데…

sshd_config 화일에서

PermitRootLogin yes

란 부분을 찾아서 yes -> no 로 바꾸어 주세요.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sshd_config 파일에 들어가는 항목과 설명을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AllowGroups ssh 로그인을 해당 그룹으로 제한한다. 각각의 그룹명은 공백으로 구분한다. 와일드 카드(* 와 ?)를 사용할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http://coffeenix.net/doc/KoreanDoc/html/SSH-KLDP/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

/bin

chgrp : 해당 file의 소유 그룹을 바꾼다. chgrp group filename
chmod : 해당 file의 소유자를 바꾼다. chmod mod filename
cp : file을 복사한다. cp source destination
dmesg : 부팅시 출력되는 커널 메시지를 보여준다. dmesg
gzip : gz 압축파일을 생성/압축해제 한다. 압축 : gzip -c file 해제 : gzip -d file
kill : 프로세서를 죽인다. kill PID
ln : 해당 file의 링크를 생성한다. ln -s source destination (심볼릭 링크)
mkdir : directory를 만든다. mkdir directory
mount : 장치를 연결한다. mount -option filesystem 장치명 경로
mv : file을 이동한다. mv source destination
rpm : redhat package manager의 패키지 파일 rpm 파일을 제어한다. man 참고
su : 다른 user로 login 한다. su ID
tar : tar 파일을 다룬다. 묶음 : tar cvf 해제 : tar xvf
umount : mount 되어있는 장치를 해제한다.

/sbin

depmod : modules의 의존성 관계를 설정한다. depmod -option
fdisk : 하드디스크이 partition을 설정한다. fdisk 장치명
fsck : 하드디스크의 에러를 검사/복구한다. fsck -option 장치명
ifcofig :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을 본다. ifconfig
iptables : 방화벽을 설정한다. iptables -option
mkfs : file system을 생성한다. mkfs -option 장치명
quota : 사용자 계정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설정한다. quota -option
route : rounting table을 설정한다. route -option
shutdown : 시스템을 shutdown 한다. shutdown -option
telinit : init runlevel을 변경한다. telinit runlevel

/usr/bin

chattr : file의 속성을 설정한다. chattr -+option filename
du : directory 내의 file들과 directory의 용량을 계산한다. du
find : file을 찾는다. find -option location filename
free : 물리 memory와 buffer/cache, swaping 상태를 본다.
ftpwho : ftp 접속자를 본다.
gcc : gnu C compiler
killall : 해당 이름을 가진 모든 process를 죽인다. killall process_name
nslookup : 해당 domain name의 ip를 알아본다. nslookup domain
passwd :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telnet : telnet 연결을 한다. telnet ip(혹은 domain)
uptime : 시스템이 켜져있는 시간과 날짜 수를 나타낸다. uptime
who : 시스템에 login 중인 user를 보여준다. who
which : 파일의 위치를 표시해준다. which file

/usr/sbin

useradd : 계정을 추가한다. useradd ID
groupadd : groupadd groupname
ntpdate : time server에 접속해서 time을 동기화 한다. ntpdate time.kriss.ne.kr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

/
이것은 루트 디렉토리이다. windows, DOS, OS/2 하에서는 각 드라이브 또는 파티션의 분리된 루트 디렉토리가 있다. 리눅스와 그 밖의 여러 종류의 Unix에서는 모든 것을 하나의 디렉토리 트리 안에 놓는다. 그래서 이 루트 디렉토리가 가장 기초가 된다. 커널 이미지를 이 디렉토리에 저장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 디렉토리에는 다른 디렉토리처럼 많은 파일을 두지 않는다.

/boot
일부 배포본에서 커널 이미지와 부트 시에 필요한 기타 다른 파일들을 이 곳에 둔다.

/tmp
일반적으로 부트 시에 필요한 임시 파일만을 두는 디렉토리이다. 부트 후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것들은 대개 /var/tmp를 이용한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mnt
이 디렉토리는 여러 가지 기타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하는 곳이다. 때때로, cdrom와 플로피 장치를 마운트 하기 위해서 /cdrom과 /floppy 디렉토리가 사용되지만, 데비안이 아닌 다른 배포본에서도 이렇게 쓰이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 /mnt는 때로는 /mount라고도 불린다.

/lib
부트 할 때 라이브러리들이 필요하다. 부트 할 때 필요하진 않지만 시스템이 작동한 이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은 /usr/lib에 위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커널 모듈들은 /lib/modules/<kernel-version>에 위치한다.

/dev
장치 파일들이 이 곳에 온다. 이들 파일들은 리눅스 커널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파일들로 하드웨어 장치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에 의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th0, ppp0 등)는 이 곳에 있지 않다는 점에 유의하라.

/proc
이 파일 시스템은 실제로 디스크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디렉토리는 작동 중인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 하드웨어 상태, 메모리 사용과 같은 컴퓨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들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 곳에 있는 파일들은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var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 변경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디렉토리이다. 예를 들어, /var/tmp는 임시 파일들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여러 가지 프로세스와 데몬들의 덤프 로그들이 이 곳에 있으며 몇 가지 중요한 하위 디렉토리들이 있다:

/var/lock
락 파일(Lock files)들이 있는 곳이다. 이들 파일들은 특정 리소스에 접근할 때 프로그램에 의해 만들어진다. 실제로 이들 파일이 접근을 막지는 않기 때문에, 락 파일을 지키는 것은 공손한 것 이상의 일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이들 파일들을 지키므로, 여러분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들 파일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var/log
일반적으로 로그 파일들이 이 곳에서 작성된다. 이 디렉토리는 매우 커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이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치워줄 필요가 있다.

/var/run
런타임 정보에 관한 여러 가지 비트를 가지고 있다.

/var/lib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파일들을 가지고 있다. 랩탑 사용자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할 만한 디렉토리는 /var/lib/pcmcia/stab인데, 이 디렉토리에는 PCMCIA 장치들에 관한 일부 정보가 들어 있다

/var/spool
메일, 뉴스, 프린터 대기열이 이 곳에 저장된다.

/root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이다. 루트 권한이 필요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때는 일반적이고 특권이 없는 사용자인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 이 곳에는 많은 것을 저장해서는 안 된다.

/home
시스템 상에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를 담고 있다. 여러분 자신의 홈 디렉토리로 돌아가기 위해서 cd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여러분의 홈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shortcut으로 ~/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의 개인적인 설정 파일과 데이터 파일들은 이 곳에 두게 된다.

/etc
아마도 루트로서의 대부분의 시간은 이 곳에서 보내게 될 것이다. 이 곳에 시스템 관련 설정 파일의 대부분이 저장되어있다. 특정 사용자를 위한 파일들은 거의 대부분 항상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그 내용은 여러분이 무엇을 설치했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관심의 대상이 될 것 같은 일부 하위 디렉토리들 아래에서 언급되고 있다.

/etc/X11
이 곳에는 시스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X11 설정 파일들이 저장된다. XF86Config가 서버가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에 의해 사용되는 폰트는 /etc/X11/fonts에 저장되며, 일반적으로 창 관리자들이 사용하는 설정 파일은 이 곳에 만들어진 하위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http://blog.naver.com/wishkjh/80016318846

uptime (시스템 운용시간, 부하율 등을 확인)

uptime은 다음과 같은 한줄의 정보를 출력해준다.
. 현재시간
. 시스템이 부팅후에 얼마동안 꺼지지 않고 운용되었는가?
.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수 (/var/run/utmp파일 참조함)
. 각각 1분, 5분, 15분동안의 시스템 평균 부하율
즉, uptime이라는 명령어는 서버관리자가 서버의 전체적인 부하율을 확인하고자 할때에 사용한다.
또한 uptime은 top과 w의 실행과에서 맨 첫번째 행을 표시해 주기도 한다.
그리고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c파일시스템을 참조하기도 한다.
사용형식
uptime
uptime [-V]
사용예 #1
아래 예와 같이 uptime에는 별도의 옵션이 없으며 그냥 “uptime”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표시해 준다.
[root@host3 root]# uptime
8:36pm up 76 days, 11:00, 3 user, load average: 0.03, 0.05, 0.00
결과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8:36pm : 현재시각이 오후 8시 36분임을 나타냄.
. up 76 days : 76일동안 재부팅되지 않고 계속 운용되었음
. 3 user :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수는 3명임
. load average: 0.03, 0.05, 0.00 : 각각 1분, 5분, 15분의 시스템 평균 부하율을 나타냄.

이 결과값으로 시스템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기는 어렵겠지만 시스템에 부하가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 결과치의 맨 오른쪽에 있는 3개의 수치값이 터무니 없이 높을 때에는 너무 많은 프로세스들의 실행으로 CPU와 Memory에 부하가 있는가? 라는정보를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uptime의 결과는 시스템 점검시에 유용한 시스템부하율로 참조된다.

출처 : http://blog.naver.com/wishkjh/80017008689

리눅스 백업의 종류 및 유의사항

*.백업시 특별 주의 :
파일 시스템을 백업할 때, 가짜 파일 시스템인 /proc 를 절대로 포함시키지 마라! /proc 에 있는 파일은 실제 파일이 아니고 파일 모양의 링크로서 커널의 자료구조를 가리키 고 있다.
당신의 전체 메모리의 내용을 담고 있는 가짜 파일인 /proc/kcore 파일을 백업하는 것은 테이프 의 엄청난 낭비일 뿐이다! 또한, 씨디롬 장치, 플로피 장치, 네트웍 파일 공유 그리고 그 외 마운트된 장치의 내용을 백업하려는 경우가 아니라면 /mnt 파일 시스템도 백업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squid/squid 는 상당히 큰 캐시파일 이므로 백업 자체가 낭비이다.

*.백업의 종류
이식성 – 백업의 이식성이 (즉, 한 리눅스 또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백업한 것을 다른 시스템에 복구 하는 것; 예를 들어, 솔라리스에서 백업한 것을 레드햇 리눅스에다가 복구하는 경우) 중요한가? 만 약 그렇다면 명령행 도구(예. “dd”, “dump”, “cpio”, “tar”)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왜냐 하면, 그러한 도구는 어떤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도 사용가능하다고 확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 백업 – 사람의 개입없이 정기적으로 자동화된 백업이 수행되는 것이 당신에게 중요한가? 만약 그렇다면, 그러한 백업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와 백업 매체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사용의 편의성 –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중요한가? 그렇다면 텍스트 또는 구이 기반의 인터페 이스를 제공하는 도구를 선택하고 싶을 것이다. 상용 유틸리티는 가장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뿐 만 아니라 기술지원도 해줄 수 있다.
원격 백업 – 원격지의 기계에서 백업을 시작하거나 복구하는 기능이 중요한가? 그렇다면, (X 세션 을 무리없이 실행할 수 있을 정도로 고속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구이 기반의 유틸리티 보다는 명령행 도구나 텍스트 기반의 유틸리티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네트웍 백업 – 네트웍으로 연결된 호스트의 백업과 복구를 실행하는 것이 중요한가? 만약 그렇다 면, 백업 장치에 대하여 네트웍 액세스를 지원하는 (“tar” 같은) 명령행 유틸리티나 “아만다(Aman da)” 같은 특별한 유틸리티 또는 상용 유틸리티가 좋을 것이다.
매체의 종류 – 백업은 테이프, 추가의 하드 드라이브, 집 드라이브, 다시쓸 수 있는 씨디 등 다양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가격 대 안정성, 저장 용량, 전송 속도 등을 비교하여야 할 것이다.